『담론』, 신영복 지음, 돌베개, 2015.
# 01. 가장 먼 여행
pp. 13-14.
강의는 사람과 삶의 이야기가 중심입니다. 사람[人間]과 삶[世界]에 관한 인문학적 담론입니다. [...] 오랜 강의 경험에서 터득한 것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교사와 학생이란 관계가 비대칭적 관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옛날 분들은 가르치는 것을 '깨우친다'고 했습니다. 모르던 것을 이야기만 듣고 아렉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미 알고 있었지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불러내는 것입니다. [...] 둘째는 설득하거나 주입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사람의 생각은 자기가 살아온 삶의 결론입니다. 나는 20년의 수형 생활 동안 많은 사람들과 만났습니다. 그 만남에서 깨달은 것이 바로 그 사람의 생각은 그 사람이 걸어온 인생의 결론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대단히 완고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설득하거나 주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의 상한上限이 공감입니다. 의문을 갖는 사람이 없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공감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아닙니다. 공감, 매우 중요합니다. "아! 당신도 그런생각을 하고 있었구나." 이것은 가슴 뭉클한 위로가 됩니다. 위로일 뿐만 아니라 격려가 되고 약속으로 이어집니다. 우리의 삶이란 그렇게 짜여 있습니다. [...] 우리의 교실이 공감의 장場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p. 15.
우리의 강의는 여기저기 우연의 점들을 찍어 갈 것입니다. 순서도 없고 질서도 없습니다. 우리의 삶이 그런 것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우연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어느 날 문득 인연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그러한 인연들이 모여서 운명이 되기도 합니다.
p. 16.
이탁오李卓吾는 사제師弟가 아니라 사우師友 정도가 좋다고 합니다. 친구가 될 수 없는 자는 스승이 될 수 없고 스승이 될 수 없는 자는 친구가 될 수 없다고 합니다.
p. 18.
공부는 한자로 '工夫'라고 씁니다. '工'은 천天과 지地를 연결하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夫'는 천과 지를 연결하는 주체가 사람[人]이라는 뜻입니다. 공부란 천지를 사람이 연결하는 것입니다. 갑골문에서는 농기구를 가진 성인 남자로 그려져 있습니다. [...] 농기구로 땅을 파헤쳐 농사를 짓는 일이 공부입니다.
공부는 살아가는 것 그 자체입니다. 우리는 살아가기 위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세계는 내가 살아가는 터전이고 나 또한 세계 속의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란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공부입니다. 자연, 사회, 역사를 알아야 하고 나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공부란 인간과 세계애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는 것입니다. 세계 인식과 자기 성찰이 공부입니다.
옛날에는 공부를 구도求道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구도에는 반드시 고행이 전제됩니다. 그 고행의 총화가 공부입니다. 공부는 고생 그 자체입니다. 고생하면 세상을 잘 알게 됩니다. 철도 듭니다. 이처럼 고행이 공부가 되기도 하고, 방황과 고뇌가 성찰과 각성이 되기도 합니다. 공부 아닌 것이 없고 공부하지 않는 생명은 없습니다.
p. 19.
고전 공부는 고전지식을 습득하는 교양학이 아니라 인류의 지적 유산을 토대로 하여 미래를 만들어 가는 창조적 실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고전 공부는 텍스트를 읽고, 다음 그 텍스트의 필자를 읽고,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독자 자신을 읽는 삼독三讀이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텍스트를 뛰어넘고 자신을 뛰어넘는 '탈문맥'脫文脈이어야 합니다. 역사의 어느 시대이든 공부는 당대의 문맥을 뛰어넘는 탈문맥의 창조적 실천입니다. [...] 오래된 인식틀을 바꾸는 탈문맥입니다. 그리서 니체는 '철학은 망치로 한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갇혀 있는 완고한 인식틀을 깨뜨리는 것이 공부라는 뜻입니다.
p. 20.
공부는 세계 인식과 인간에 대한 성찰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삶이 공부이고 공부가 삶이라고 하는 까닭은 그것이 실천이고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는 세계를 변화시키고 자기를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공부는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이며, '가슴에서 끝나는 여행'이 아니라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입니다.
'Art & Photo > Review - expo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리뷰] 『담론』, 신영복 - # 04. 손때 묻은 그릇 - # 06. 군자는 본래 궁한 법이라네 (0) | 2022.02.28 |
---|---|
[북리뷰] 『담론』, 신영복 - # 02. 사실과 진실 - # 03. 방랑하는 예술가 (0) | 2022.02.18 |
[북리뷰] 『철학 vs 철학』# 04. 보편자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아퀴나스 vs 오컴 (0) | 2022.01.16 |
[북리뷰] 『철학 vs 철학』# 03. 행복한 삶을 이루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에피쿠로스학파 vs 스토아학파 (0) | 2022.01.14 |
[북리뷰] 『철학 vs 철학』# 02. 세계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플라톤 vs 루크레티우스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