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4 [#05] La nécessité d’étudier l’art populaire : Paris, lieu de réémergence de l’art populaire, Minseok KIM [ La nécessité d’étudier l’art populaire ] Minseok KIM #05 Paris, lieu de réémergence de l'art populaire Paris est la ville qui devient le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Mais comme il est impossible de définir la modernité en énumérant juste quelques arguments, il est aussi difficile de distinguer cette ville et son statut en généralisant seulement à partir de certains événements historiqu.. 2022. 12. 16. [#04] Le centre de l'art et les avant-gardes : Paris,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Minseok KIM [ Le centre de l'art et les avant-gardes : Paris,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 Minseok KIM #04 Le centre de l'art et les avant-gardes Pour toutes ces raisons, les artistes ne peuvent pas résister à l’attraction de cette ville. Paris, selon l’expression de Clément Chéroux, « véritable capitale des arts, la Ville Lumière aimante alors toutes les forces vives de la création(1) ». Paris, co.. 2022. 12. 6. [#03]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민석킴 [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3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이처럼 이 시대의 파리는, 근대성의 시대와 자본주의 문화를 다룬 발터 벤야민 Walter Benjamin 의 작품 제목처럼, 『19 세기의 수도 Paris, capital du XIXe siècle(1) 』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 도시를 기능적 시각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클레망 셰루 Clément Chéroux 가 잘 지적한 것처럼, 다른 한편으로 이 시기의 파리는 « 급성장하는 산업화와 결국엔 도시민들을 삼켜버리는 문어발식 도시 개발 등 진보의 허브 »인 것으로 보이기도 했기 때문이다(2). 그리고 마침내 유럽에는 이 모든 것을 전.. 2022. 11. 29. ÉPISODE #05_이미지의 글, 레이몽 드파르동 Raymond Depardon 생각을 다른 곳으로 돌려보려고 대형 카메라로 풍경사진을 몇 장 찍었다. 그는 영화 Numéro Zéro, Reporters 그리고 San Clemente의 편집자였다. P 21 * 프랑스어 원문 [Ecrit sur l’image. Raymond Depardon. Le désert américain], Raymond Depardon, Éditions de l’Étoile, Paris, 1983. 의 내용을 개인적으로 번역해 옮긴 것입니다. 저작권은 출판사 측에 있습니다. 2022. 8.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