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속연구 Le Folklore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6
민속연구 Le Folklore
더 나아가 민중 예술의 기원으로 무엇을 살펴볼 수 있을까? 양차 대전 사이 파리의 지위에 관한 연구를 위해 라스코 동굴 벽화 Grotte de Lascaux 의 역사까지 거슬러 올라갈 필요는 없다. 우리는 모더니즘의 역사와 멀지 않은 지점에서 발견되는 민속학 연구에 주목해 볼 수 있다. 민속학은 « 민중들로부터 구전되거나 복제되어 세대 간으로 전해지는 집합적 생산의 총체로, 문학(설화, 구전동화, 민요, 민속음악, 신화), 조형문화(의복, 춤, 장식품, 공연), 물질문화(주거, 도구, 기술, 악기) 등을 포함하는 민속 예술과 전통 »에 대한 연구이다. 이처럼 민속학이 지역 유산이나 지역 문화와 맺는 관계 그리고 정치 · 사회적 담론의 공간에서 종종 발견 된다는 점을 미루어, 이 또한 민중 예술에 대한 논의에 포함시켜 볼 수 있다. 또한 민속학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가 이어서 다룰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낯섦과 이국성 개념, 나아가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1. 민속연구의 기원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 Le Corbusier 는 한 인터뷰에서 민속연구가 « 전통문화의 꽃 fleur des traditions »이며, 그것은 « 연구의 대상 objet d’étude »이지 « 개척과 발굴 exploitation »의 대상이 아니라고 말했다(1). 그렇다면 민속연구는 무엇인가? 우리는 “민속연구 folklore”라는 단어가 “folk” (대중 peuple)과 “-lore” (앎의 총체 ensemble des savoirs)라는 어원의 결합으로 영국에서 등장했으며, 이 민속학은 18 세기 프랑스 백과사전서파 encyclopédistes 의 작업에 의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 문화의 고유한 원천을 찾는데 열중했던 영국과 독일 전기 낭만주의자들 préromantistes 의 작업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점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백과사전서파에 의해 집계 · 목록화 된 모든 지식과 드니 디드로 Denis Diderot 가 “전문 기법 arts mécaniques(2)”이라고 부르기도 한, 모든 전문적인 technique 식별과 이해는 결국 그들의 세심하고 민족지학적인 접근방식으로 사전에 구성된 묘사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3). 이런 관점 아래, 민속연구의 출처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가 앞서 언급한 인류학과 민중 예술의 관계 그리고 미술사 안에서 개념의 사용과 그 조건을 떠올려 볼 수 있다. 더불어 민족지학, 또는 민속연구라고 부르는 그것은 특히 그들 국가의 문화와 예술의 영역을 비옥하게 했다. 19세기말,몇몇예술가들에의해새로운시각이떠오른다.장마리갈래Jean- Marie Gallais 에 따르면, 그들은 민속연구를 그들의 기원으로 돌아가는 하나의 경험으로 인식했다(4) . 그가 자신의 글 “민속연구에서 예술가의 초상”에서 인용한 폴 고갱 Paul Gauguin 의 두 편지는, 1888 년에 작성된, 민속연구를 대하는 그의 태도를 잘 반영한다(5) :
« 브르타뉴 Bretagne 가 마음에 듭니다. 여기서 원시적인 것과 원초적인 것을 찾았답니다. 나의 발굽이 화강암 바닥에서 소리를 낼 때, 내가 그림에서찾아다닌흐리면서강한,은밀한소리가들립니다(6) ».
« 내가 생각하기에 굉장한 토속의 순박함과 미신적인 형상에 도착한 것 같습니다(7) ».
1. 이국풍 exotisme 그리고 프랑스 본토를 향한 관심
나아가 민속연구는 모더니즘 예술가들을 사로잡았다. 특히 시골 풍경이나 신비한 설화 같은 것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한 이국적 아이디어에 심취해 작업했던 고갱 Gauguin 과 그의 동료인 폴 세루지에 Paul Sérusier 는 실제로 초현실주의 그룹의 리더라고 할 수 있는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 이나 대표적 아방가르드 예술가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o 의 작업에 영감이 되기도 했다(8). 브르통은 민속학에 대한 견해를 여러 번 표명하기도 했으며(9), 고갱에 대해 이렇게 묘사하기도 하기도 했다 : « 고갱은 보이는 것들을 철저히 파해치는 자이다 [...] 그 기원과 본질까지 밝히기 위해서(10) ». 그리고 모더니즘 예술가들이 민속학에 받은 영향에 대해서 장-마리 갈래는 « 초현실주의자들은 스스로를 음유시인 barde 의 후손 그리고 민속연구 속에서 표현되는 켈트 정신의 매개자 porteur 이자 주술사 enchanteur 로 여겼다(11). 민속학을 향해 관심을 쏟은 현대성의 예술가들이 우리가 « 원시 primitif »라고 부르는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또는 미국인디언의 예술에 거의 같은 호기심과 본능적욕망을느꼈다는점을확인할수있다(12) »고묘사한다.이렇게 민속연구의 세계는 아방가르드의 관심을 불러 일깨웠다.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국풍 exotisme 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단어는 어디서 왔는가? 15 세기 부터 18 세기 사이의 대항해시대를 떠올릴 수 있다. 오늘날 보편적으로 공유되는 관점에 따르면, 이 시기에 항해 기술이 발달하고, 서로 다른 문화 간의 만남이 이루어졌다. 익숙하지 않은 것들은 매혹적이었고, 서구인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들의 발달된 기술은 그보다 덜 발달한 문화 위에 설 수 있도록 했고, 서양인들은 낯설고 신비한 문화를 수집해 – 비판적 관점으로 보자면 빼앗았다고 표현 할 수있다(13) –그들이왔던곳으로옮겼다.이것이이국풍개념의등장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역사는 넓은 의미로의 제국주의 동향을 나았으며,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서구중심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므로 이 개념은 다른 한편으로, 식민주의 colonialisme, 제국주의 impérialisme 그리고 서구중심주의 occidentalisme 개념과 분리되어 평가되어서는 안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같은 역사의 전개와 비판적 해석을 잘 담고있는, 제임스 클리포드 James Clifford 의 민족지학과 문화예술 사이의 불편함에 관한 훌륭한 연구, 『문화 속에서의 불편』 Malaise dans la culture(14), 를 참고 할 수 있다. 그는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Claude Lévi-Strauss 의 『슬픈 열대』 Tristes tropiques(15),를 인용하면서, 이국풍의 시선 아래에서 정통 문화가 기껏해야 수집 할만한 예술이나 민속연구가 되었고, 이런 유럽 중심주의는 역사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비판한다. 그의 표현을 보자 :
« Selon le point de vue de Lévi-Strauss [...] les différences humaines authentiques se désintègrent, disparaissent, dans une culture expansive du produit, pour devenir, dans le meilleur des cas, de l’« art » ou du « folklore » collectionnable. Le grand récit de l’entropie et de la perte, dans Tristes tropiques, exprime une triste et fatale vérité. Mais trop tranché, d’un eurocentrisme discutable, il se situe à la « fin » d’une histoire humaine unifiée, où les historicités locales du monde sont rassemblées et commémorées(16) ».
민속 연구자 Folkloristes 들과 원시주의 primitivisme 예술가들이 열광했던 것은 이국적인 문화와 낯선 풍경들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 exotisme » 단어의 언어적 기원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 흥미는 프랑스 내부를 향한 것이었다. 즉, 자국에 대한 낯섦 étrangeté 과 이국성 exotisme 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맥컬리 McCauley 가 요약 한 바와 같이, 19 세기 초 낭만주의자들이 일종의 동화로서 식별한 언어적 민족주의적 분류였던 민속연구 folklore 는 산업화와 기계화와의 온도차에 의해 점차 소외되고 만다(17). 끝으로 « Folklore » 전시의 감독이자 퐁피두-메츠 Centre Pompieou-Metz 의 학예사 장-마리 갈레 Jean-Marie Gallais 가 전시 카탈로그에서 언급한 발췌를 살펴보자. 이 발췌는 민속연구의 맥락과 그 흐름을 잘 묘사해주고, 외부에서 내부로 눈길을 돌린 이국풍의 흥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주며 동시에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전반의 과정을 요약한다 :
« Peu à peu, le Grand Tour à la découverte des richesses archéologiques de l’Europe, passage obligé de tout artiste au XVIIIe siècle, est remplacé par un autre périple initiatique prenant comme modèle les Voyages pittoresques et romantiques dans l’ancienne France, publiés par Charles Nodier et le baron Taylor entre 1820 et 1878. Il s’agit de changer d’optique, de ne pas aller si loin dans le temps, ou si loin sur le globe, pour se faire plutôt l’explorateur d’un monde contemporain dont les habitants, souvent des paysans, ont développé un style de vie et de pensée différent de la culture dominante, reflet d’un passé profond qui aurait survécu aux temps modernes et à l’industrialisation(18) ».
(다음) - #07. 국가주의 신화 : 파리, 민중 예술 재출현의 현장
(1) Dit-il « Folklores, fleur des traditions. Fleur... Par fleur, on veut exprimer l’épanouissement, le rayonnement de l’idée motrice... Et non pas inviter à copier des fleurs, en peinture ou en sculpture, en broderie ou en céramique. Le folklore, un objet d’étude et non pas d’exploitation ». Cf. Le Corbusier, « Entretien avec les étudiants des écoles d’architecture », in La Charte D’Athènes, Paris, Le Seuil, 1971, pp. 168-169. Cité par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in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Cat. exp. (Centre Pompidou-Metz, 21 mars.-21 sept. 2020, Marseille, Mucem, 20 oct. 2020.-22 févr. 2021). Éd. La Découverte, Paris, 2020, p. 199.
(2) Jean-Luc Martine, « L’article Art de Diderot : machine et pensée pratique », Recherches sur Diderot et sur l'Encyclopédie [En ligne], 39 | 2005, mis en ligne le 04 décembre 2008, consulté le 21 mars 2021. URL : http://journals.openedition.org/rde/316. Voir le résumé de cet article comme référence de cette notion « arts mécaniques », décrit-il « L’article art de Diderot participe d’un premier mouvement de l’écriture encyclopédique qui s’inscrit dans un propos délibérément critique, non seulement vis-à-vis de la constitution des savoirs hérités, mais aussi de certaines tendances des Lumières, illustrées par les présupposés de la mécanique mathématique de D’Alembert. La place accordée à l’idée de machine est particulièrement révélatrice de la manière dont l’espace où « machine » voisine avec « prodige » peut être le lieu d’une réévaluation du rapport de l’esprit avec le savoir. Entre la rationalisation abstraite envisagée par D’Alembert, qui entend substituer la clarté des idées simples au mathématique du réel. Ainsi, ce qui importe vraiment dans art, c’est moins la réhabilitation des arts mécaniques, que l’instauration d’un rapport au savoir différent de celui dont résulte, à titre de conséquence secondaire, l’ancien mépris du méchanique. Le philosophe selon Diderot est un artiste et la pensée est un art ».
(3) Cf. [Note prise dans le cours], Paul-Louis Roubert, « Photographie, art populaire ? », op. cit.
(4)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1.
(5) Ibid.
(6) Paul Gauguin, lettre à Émile Schuffenecker [fin février-début mars 1888], cité in Gauguin, Galeries nationales du Grand Palais, Paris, Éditions de la RMN, 1989, p. 82.
(7) Paul Gauguin, lettre à Vincent Van Gogh [ca. 26 septembre 1888], Amsterdam, Van Gogh Museum, inv. nos. B847 a-d V/1962 (l’artiste souligne l’adjectif).
(8)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4. « Les artistes sont d’abord observateurs de l’art populaire et ils sont très nombreux, comme Vassily Kandinsky, Pablo Picasso ou El Lissitsky, [...] ».
(9) Ibid., p. 12.
(10) André Breton, L’Épée dans les nuages. Degottex, Paris, 1933, livret de l’exposition organisée à L’École scellée. Cité par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in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2.
(11) Cf. Yves Vadé, « L’ombre de Merlin. André Breton et la pensée celtique », Pleine Marge, Cahiers de littérature, d’arts plastiques et de critique, Éditions Peeters-France, no 42, décembre 2003, p. 153-180. Cité par Jean-Marie Gallais (dir.). in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2.
(12)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2.
(13) À cet égard, si on en parle avec la perception critique, on peut utiliser ce genre de l’expression « piller, voler, rafler, etc. » à la place à la place de « collecter ».
(14) James Clifford, Malaise dans la culture. L’ethnographie, la littérature et l’art du XXe siècle, Paris,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1996. Nous pouvons viser cet ouvrage pour établir la notion de l’exotisme et le point de vue critique remarquable dans son histoire générale.
(15) Claude Lévi-Strauss, Tristes tropiques, Paris, Plon, coll. « Terre Humaine », 1955. Cité par James Clifford, in Malaise dans la culture. L’ethnographie, la littérature et l’art du XXe siècle, op. cit., p. 22.
(16) James Clifford, Malaise dans la culture. L’ethnographie, la littérature et l’art du XXe siècle, op. cit., p. 22.
(17) Anne McCauley, « En-dehors de l’art », op. cit.
(18) Jean-Marie Gallais et Marie-Charlotte Calafat. 2020 (dir.). « Folklore ». Artistes et folkloristes, une histoire croisée, op. cit., p.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