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 Photo/Review - expo & book

[전시리뷰] « 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 PEYBAK, Galerie VALLOIS

by aTELIER 민석킴 2022. 3. 15.

GALERIE Georges-Philippe & Nathalie Vallois

(04 fev 2022 - 19 Mar 2022)

33 & 36 rue de Seine 75006 ParisFRANCE

www.galerie-vallois.com


PEYBAK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페이백, 이상한 아이온 - 그곳에서 만나

 

 

012
Peybak, « 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 2022.

 

 

시작과 끝이 하나인 세상에서 극과 극은 통한다. 여기서 인간은 태아 같은 기원이나 시초도 아니고 시메라 Chimère(1)도 아닌 잘 정의되지 않은 다소 추상적이고 다채로운 형태이다. 2000년 테헤란 예술학교를 졸업하고, 이란 예술가 Peyback(2), 즉 Peyman Barabadi와 Babak Alebrahim Dehkordi(둘은 서로 친구이다.)는 콜라보를 시작할 때부터 세계 속 그 존재의 몸짓에 끌려왔다. 그렇게 수많은 생물로 가득 찬 허구적 우주가 탄생한다. 그 생명체들은 아브라칸 Abrakan(3)의 혼란스럽게 빽빽한 무리 la nuée이고, 그것은 실제로 이름 붙이지 않고도 불안 les nuages을 일으키도록 고안된 단어이다. ("Abr"는 "구름"을 의미한다).(4)

Les contraires s'attirent dans un monde où le début et la fin ne font qu'un - ce temps où les êtres ne sont ni embryons ni chimères, mais des formes plus ou moins définies, abstraites et colorées. Dès le début de leur collaboration, après leur diplôme de l'école de'art de Téhéran en 2000, Peybak - Peyman Barabadi et Babak Alebrahim Dehkordi, amis et artistes iraniens - se laissent guider par leurs gestes, leur pratique à quatre moins. Naît un univers fictif et peuplé d'une foule de créatures : la nuée dense et troublante d'Abrakan, nom inventé qui évoque les nuages sans vraiment les nommer ("Abr" signifie "nuage" en person).

 

 

이 존재들은 상상 속 백과사전의 미세화처럼 작업을 통해 점차 모습을 드러낸다. 사막적인 배경에서, 이들은 펄럭이고, 껴안고, 웅크리고, 모여들고 그리고 춤을 춘다. Peybak을 만나면서 그처럼 드러낸다. 작품들은 그림의 흐름을 따라서 이야기를 전한다. 창조의 혼돈 이후에는 무엇이 있을까? 낮, 밤, 아니면 낮도 밤도 아닌, 삶도 죽음도 아니거나 그 둘 사이. 끝없는 세계...

 

갤러리에서 열리는 그들의 네번째 개인전을 위해 Peybak은 H.P. Lovecraft(5)를 따라 흥얼거린다. 잠들지 않는 것은 죽지 않고, 미지의 시대에서는 죽음까지도 죽을 수 있다네. (그것은 죽지 않았네. 죽을지언정 미지의 아이온(6)과 함께 영원할 수 있다네.)

Ces êtres s'individualisent peu à peu dans un ensemble de tableaux, comme autant de miniatures d'une encyclopédie imaginaire. Sur un arrière-plan désertique, les créatures s'agitent, s'enlacent, galopent, s'assemblent, dansent - ainsi, tout se dévoile devant Peybak. Les œuvres apportent l'histoire, au fil de la peinture. Qu'y a-t-il ensuite, après le chaos de la création ? le jour, la nuit, ou plutôt ni le jour ni la nuit, ni la vie, ni la mort, un entre-deux. Un monde enfoui d'un jour sans fin...

Pour leur quatrième exposition personnelle à la galerie, Peybak écoutent H.P. Lovecraft souffler N'est pas mort ce qui à jamais dort, et dans les ères étranges peut mourir même la Mort (That is not dead which can eternal lie yet with strange aeons even death may die.)*

 

 

Peybak, Vue de l'exposition « 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 Galerie GP & N Vallois, Paris, 04.02 - 19.03.2022. ©Aurélien Mole.

 

 

이것은 분명하다 :

이 전시, 이상한 아이온 - 그곳에서 만나, 는 정체불명의, 미지의 영역을 향한 여정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곳에서 사고는 흐려지고 육체는 모호하고 알아보기 힘들지만, 정채된 상태로 깨어난다. 이 생명체들은 갤러리의 바닥으로 까지 펼쳐진다. 이 긴 여정에서 지쳐 쓰러지고 기절한 것처럼. 먼 곳에서 녹색 또는 푸른색의 아득한 빛이 비치는 곳, 움직이는 풍경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곳을 찾아 떠나는 여정. 

 

당신은 중간에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아니면 가장자리게 있는가? 잘 보이는 곳에 있는가 아니면 숨어있는가? 죽음과 함께인가 아니면 영원한가? 둘 다인가 아니면 둘 중 하나인가? 그래서 당신은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이 존재들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어떤 것에 대한 기억이 지배하고 있는 그 중간의 언저리에서 침묵하고 있다. 나는 삶이 그저 몇 번의 호흡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삶은 낮과 밤의 꿈 속에서 펼쳐진다.

"영원히 잠들지 않는 것" 처럼, 나는 긴 여행을 한다. 부동하는. 그리고 나는 많은 비밀을 가진다.

 

C'est décidé :
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sera le départ d'un voyage vers une région indéfinie, inconnue, où la pensée s'éteint et la corps s'éveille dans un état incertain, indécis et pourtant statique. Des créateurs s'étendent à même le sol de la galerie, comme échouées, évanouies après ce long voyage, jusqu'au lieu où il n'y a rien, rien d'autre qu'un paysage mouvant, vert ou bleu, avec une lueur au lointain.

Es-tu au milieu, ou tu n'y es pas, ou es-tu sur le bord ; es-tu visible ou caché ; es-tu périssable ou immortel ; es-tu l'un et l'autre ou ni l'un ni l'autre ' existes-tu enfin ou n'exist es-tu pas ?**

Ces êtres restent muets, dans cet entre-deux, ces limbes, où règne le souvenir de quelque chose qui n'est pas encore arrivé. Je pensais que la vie ne se compose que de quelques respirations**. Mais elle s'allonge, se replie dans un songe de jour, de nuit.
Comme "ce qui à jamais dort", j'ai fait un long voyage, immobile, et j'ai beaucoup de secrets.

 

Agate Bortolussi

 


 

0123
Peybak, « Strange Aeons #1, #4 », Arcylique et gesso sur toile, 2021. © Aurélien Mole.

 

01
Peybak, Vue de l'exposition « Strange Aeons - We will meet you there », Galerie GP & N Vallois, Paris, 04.02 - 19.03.2022. ©Aurélien Mole.

 


(1) 키메라 또는 키마이라 Chimère는 그리스 신화 속에 등장하는 존재로, 사자의 머리 · 양의 몸 · 용의 꼬리를 가진 괴물이다.

(2) Peybak은 두 작가의 이름 앞부분을 떼어와 합쳐 만든 활동명이다. Peyman Barabadi + Babak Alebrahim Dehjordi.

(3) 아브라칸 Abrakan은 '미끄러운 지형'un terrain glissant을 뜻한다., cf. Wall Street international Art Magazine : https://wsimag.com/fr/art/16215-peybak 

(4) 글쓴이의 단어 사용이 흥미롭다. "무리"nuée와 "불안"nuage 그리고 부연설명과 같이 구름을 뜻하는 단어 "아브ㄹ-"Abr는 모두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단어이다. 필자가 "무리"로 해석한 "nuée"는 "구름"의 뜻을 갖고 있기도 하며, "불안"으로 해석한 "nuage"는 문어로 "nuée"라고 쓰지만, "구름"의 뜻을 가지면서 동시에 "불안", "암운", "나쁜 징후" 등 비유적 표현으로 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번역에 있어 문맥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석했다. 불어 글쓰기에 있어서 같은 단어 사용의 반복을 피하는 것이 좋은 글쓰기로 여겨지기 때문에,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는 "Abr", "nuée", "nuage"를 혼용했거나, 의도적으로 이와 같이 배치해 작품 제목을 강조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5) Howard Phillips Lovecraft. 미국의 판타지, 공상과학 소설가이다. 신화와 관련된 수많은 단편을 썼고, 그 작업들과 신화 체계는 후대 SF 작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대표작으로 『크툴루 신화』, 『인스머스의 그림자』, 『울타르의 고양이』 등이 있다.

(6) Aeon. 영어에서 아이온은 '영겁의 시간', '역겁의 시간'을 의미하고, 지질학에서는 '이온'aeon이라는 단어가 100억 년의 시간을 뜻하기도 한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이 단어가 프랑스어로 éon의 옛날 철자이고, éon은 '영구불변의 힘', '세상을 다스리는 힘'을 뜻한다는 점이다.

 

* 하워드 필립 러브크래프트 Howard Philiips Lovecraft는 이 구절을 묘사하기 전에, 1921년 이름 없는 도시로 아랍의 허구 시인 압둘 알 하즈드 Abdul al-Hazred에 의해 처음으로 공상된 이 도시를 떠올렸다고 한다.

   Howard Phillips Lovecraft, La Cité sans nom, 1921. Lovecraft y évoque pour la première fois le poète fictif arabe Abdul al-Hazred qui aurait rêvé d'une cité enfouie au milieu du désert arabe avant décrire ces vers. 

** 다음의 인용들은 Farid Uddin Attar (1145-1190년대, 페르시안 신화를 소재로 하는 시인)의 시집 『La Conference des oiseaux』 (영문판으로 The Conference of the Birds가 있다.)과 같은 제목으로 Jean-Claude Carrière가 연출한 연극에서 참고했다.

    Les autres citations sont tirées de La Conférence des oiseaux, grand poème de Farid Uddin Attar (poète mystique persan, vers 1145-1190), et du récit théâtral du même titre de Jean-Claude Carrière.


 

cp-peybak-fr-3.pdf
1.65MB

 

 

* 모든 자료는 갤러리에 직접 방문해 수집되었거나 갤러리 공식 홈페이지를 출처로 하여 사용되었습니다.

* Tous les documents et images ont été recueillis en personne à la galerie et utilisées par le site officiel de la gale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