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 & Photo/Academy · Thèse

[#11] 현대 생활의 도시

by aTELIER 민석킴 2023. 2. 26.

[ 모더니즘, 사진 그리고 아방가르드 - 현대 생활의 도시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11

모더니즘, 사진 그리고 아방가르드

어떤 점에서 파리는 이 서사의 전, 예술이 된 민중 예술의 배경, 으로 이야기 될 수 있는가? 여기서 우리는 19세기 현대성의 탄생과, 이 기념비적인 모더니즘 – 의 출현이 문화 예술 전반에 가져영향에 주목해야 한다. 앞에서 사진 이야말로 모더니즘의 상적인 매체라는 점이 몇차례 강조되었다는 것을 떠올려 수 있다. 그것이 순히 사진의 발명과 모더니즘 도사이의 시기적 일치 때문인 것 만은 당연히 니다. 바로 이 점이 우리가 여기지 정치 · 사회 · 경제 · 문화의 경계를 나들며 그 맥락들을 파하고 복합적인 분석을 시도한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이 장에서는, 이 도시가 가질 수 있는 세번째 지위의 정을 시도하고, 2 차대전의 , 특히 전에도 구하고 20 세기의 포크 la belle époque au XXe siècle 문화예술의 비옥함을 자했던 양차대전 사이 대도시 파리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이러한 맥락의 합을 살펴볼 것이며, 또 사진의 탄생과 발전을 현대성 역사의 전와 나히 하여 살펴보자. 그리고 나가 당시 예술가들, 주로 방가르예술가가 이 서사 안에서 어떤 역할로 다질 수 있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현대 생활의 도시

          19 세기 유럽에서 도한 현대성과 모더니즘 념이 20 세기 뿐 아니라 현재지도 우리 문화 예술 전반에 얼마은 영향을 주고 있는가? 현대성 그 자만 하더라도 수 은 질문과 다양한 사회 · 문화적 경향의 출현을 낳았지만, 모더니즘에 대해 그 반작으로 등장하는 념들과 다양하게 확장되는 론의 영역들 지 고려하면 그 영향력이 유례없이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점에서 이 연구가 현대성과 그 맥락을 고려해 살펴보고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없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면,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처럼, 이 연구의 중심 인 사진이 현대성과 맺는 관계가 긴밀하고, 기 때문에 여러 의에서 19 세기의 러다을 가져오는 사진의 등장과 발전은 산업화, 자본화 그리고 현대화 념과 함께 논의되는 것이 마땅해 보이기 때문이다.

          유럽에서 발생했던 산업화가 야기한 현상과 화를 상기하면서 논의를 시작 할 수 있다. 비약적인 산업의 발전과 그 영향은 앞서 첫번째 장 전를 통해 자세히 다처럼(1). 19, 20 세기의 생전반에 쳐 발된다. 특히 산업화는 생산과 노동조 변화로 인한 도시중현상, 생산력 확대로 인한 자본주의의 팽창과 확대, 그로 인한 소비중심주의 문화 또는 소비사회의 물질주의 등장, 몇몇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자유의 물결 형성, 가 도시 재정비와 대화를 야기한다. 우리는 이 일련의 과정을 과거 사회로부터의 해방, 대 사회로의 진입, 현대성의 탄생 그리고 모더니즘 등으로 부. 그러나 1890 년대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확산에 따라, 이러한 발전의 위에 대한 인식이 훨씬 더 대되었다. 예를 들어 소비주의의 확대에 대한 위, 사회 계급 타리의 붕괴 등의 문제가 대적이다. 그리고 이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서, 이 산업화, 자본화 그리고 대화 아래에서 체험된 경들이 모분야에서 가장 주요한 사회적 점이 되었다.

          다르게 말하면, 점들이 문화 · 예술 분야의 주의를 끌게 되었다는 것을 의할 수 있다. 특히 문학과 비그리고 예술분야에서, 현대성에 대한 고민 또는 대화의 화로부터 나오는 다양한 질문이 당시 작가나 예술가들의 작업 안에서 가장 주요한 주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보들Baudelaire 의 현대성 정의, Eugène Atget 대화 이전의 파리 기록, 루이 Louis Aragon 과 라이Rainer Maria Rilke 의 자본화와 대화의 현대 도시 경의 문학적 사 그리고 야민 Benjamin 의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연구 등을 언급할 수 있다. 그들은 현대성의 맥락 안에서 작업한 것이다. 그러로 우리는 그들의 작업에서 모더니즘이 체험된 경을 확인해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보들르의 작에서는 그의 산문시에서 니라, 그가 긴 미술 비에서 역시 – 19 세기 중반 본격적인 대 산업화에 차가 가해지던 시기에 대한 사가 잘 나타. 도시를 산하며 발되는 오제는 시의 소재가 되었다. 과정에서 형성된 도시의 화와, 도시의 대중들 그리고 도시 사회에 대한 사유가 결국 현대성 정의로 결된 것으로 보인다. 제는 대화 이전의 도시 모습을 사진으로 기록한 것으로 잘 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가 화가나 아카기관 등에 고되어 일했다는 점을 루어 보, 그가 현대성에 대한 직접적인 의도를 가지고 작업한 것으로 하는 것은 무리이다. 제로 그의 사진들 외에 그가 직접 어떠한 도 발되고 있지 않다(2).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의 작업이 어떤 점에서 발되고 가치화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그는 잘 려진 바와 같이 만 Man Ray 와 베르니스 아Berenice Abbott , 초현주의자에 의해 대화 이전의 도시를 기록한 초의 사진가로 사진과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입된다. 제에 관해서는 같은 장에서 이어 살펴보도록 하자. 그리고 의 작도 이야기 할 수 있다. 은 그의 작품 『파리의 Le paysan de Paris(3)에서 도시의 자본화와 현대화를 초현주의 문학적 시도와 함께 담아. 는 그의 작품 『의 수기 Les cahiers de Malte Laurids Brigge(4)를 통해 현대 생의 도시의 시적 현을 시도했다. 으로 20 세기 모더니즘과 현대성 연구의 대적인 작가로 야민을 을 수 없다. 정치 · · 예술 · 사회 · 문화 전반으로 치는 그의 다양하고 비한 사유 안에서는 사진에 대한 고민도 발된다. 더 나가 그는 사진과 그 시대의 관계에 대한 기념비적 연구인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L’œuvre d’art à l’époque de a reproductibilité technique(5) 남겼. 여기에 언급된 각각의 작업들은 에서 다시 돌아와 자세히 다루어 보기로 하고, 현대성 이해와 함께 이 장에서는 다과 같은 질문을 던져 보야 한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맥락들 산업화, 자본화, 현대화를 포함하는 그리고 위의 작업들에서 어떤 통점이 발되는지 하는 점이다. 있게도 이같은 화와 전의 맥락이 한 도시 현대 생의 도시 파리 를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수 있다.

 

 

 

 

(다음) - #12. 사진의 발명과 발전 그리고 대중화 

 

____

(1) 이 글의 첫번째 장, 이 시리즈의 4번째 글, «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참조. https://atelier-km.tistory.com/56

 

[#04]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민석킴

[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4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이런 다양한 맥락 아래에서, 이 같은 요소들의 종합은 당시의 예술가들에게 하여금 이 도시 파리의 매력

atelier-km.tistory.com

(2) Cf. Rosalind Krauss, Le photographique. Pour une théorie des écarts, op. cit.

(3) Louis Aragon, Le paysan de Paris, Paris, Gallimard, 1926.

(4) Ranier Maria Rilke, Les cahiers de Malte Laurids Brigge, traduit de l'allemand par Maurice Betz, Paris, Émile-Paul frères, 1926 ; réédition aux éditions Points, 1995.

(5) 발터 벤야민, 기술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op, cit., 프랑스어 원문 -Walter Benjamin, L’Œuvre d’art à l’époque de sa reproductibilité technique, Œuvres, t. III, op, cit., pp. 269-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