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_ 민석킴
2월 14일에 시작한 데만트의 전시가 파리의 사진 전문 뮤지엄 Jeu de Paume에서 5월 14일 까지 열린다. 70여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장은 지하철 1호선 Concorde역에서 내려 찾아볼 수 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
https://jeudepaume.org/evenement/exposition-thomas-demand/
Exposition Thomas Demand - Jeu de Paume
Première rétrospective d’envergure en France, l’exposition présente environ 70 œuvres et couvre les aspects majeurs de l’œuvre de Demand.
jeudepaume.org
Summary
이 글에서는 장면의 디테일한 모형을 만들고 이를 촬영하여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독특한 작업 방식을 사용하는 독일 예술가이자 사진가인 토마스 데만트의 작품과 삶을 살펴본다. 디테일에 대한 데만트의 관심과 역사적 사진 자료의 사용은 그를 중요한 현대 예술가로 만들었다. 이 글에서는 데만트의 대표 작품과 작업 방식, 시뮬라크르 simulacrum, 언캐니 uncanny, 구성 이미지 constructed image 등을 살펴보고 나아가 예술 및 사진 이론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기를 시도한다.
아티스트 그리고 사진가 - Thomas Demand
토마스 데만트는 독일의 예술가이자 사진작가로, 독특한 창작 과정과 매력적인 작품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현대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이력, 작품 세계, 대표작, 작업 방식, 현대 미술에서 예술가의 위상과 영향력, 관련 미술 및 사진 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작가 연혁
토마스 데만트는 1964년 독일 뮌헨에서 태어났다. 뮌헨의 아카데미 데어 빌덴덴 쿤스트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에서 조각을 공부한 후 1990년 뒤셀도르프로 이주하여 독일의 영향력 있는 개념 예술가 베른트 베허 Bernd Becher와 함께 공부했다. 그곳에서 그는 사진을 공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창조하기 위해 사진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1993년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자신의 작업방식을 개선하고 시그니처 스타일을 계속 발전시켰다. 수년 동안 데만트는 뉴욕 현대미술관,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 도쿄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여는 등 국내외로 자신의 작품을 광범위하게 전시해 왔다.
작품세계
데만트의 작업은 주로 사무실, 호텔 로비, 패스트푸드점 등의 장면을 실물 크기의 디테일하고 사실적인 모형으로 제작한 다음,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사진을 찍는 것이다. 그의 사진은 아주 매혹적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불안한 느낌을 주어 보는 이로 하여금 무엇이 진짜이고 무엇이 가짜인지 의문을 품게 만든다.
그의 작품은 디테일에 대한 세심한 묘사가 특징이며, 만들어진 장면의 모든 측면을 아주 신중하게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의 작업 과정에는 조사, 스케치, 모형 제작, 사진 촬영 등 세부적 단계가 포함된다. 데만트의 작업은 사진의 역사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자신의 작업에서 안드레아스 구르스키 Andreas Gursky와 윌리엄 이글리스턴 William Eggleston을 비롯한 다른 사진작가의 작품을 자주 참조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대표작
토마스 데만트의 주요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Clearing (2003) : 스튜디오에서 실물 크기의 숲 모형을 제작한 후 촬영한 숲 사진이다. 그 결과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한 기묘하고 몽환적인 이미지가 탄생했다.
- Control Room (2011) : 종이와 판지로만 구성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제어실 사진이다. 이 작품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재앙에 대한 논평이자 우리 사회 기반 시설의 취약성에 대한 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 La Carte d'Après Nature (2000) : 프랑스 사진작가 으젠 앗제 Eugène Atget가 만든 일련의 엽서를 바탕으로 한 사진 시리즈이다. 데만트는 엽서에 묘사된 장면을 종이와 판지 모형으로 재현하여 세기의 전환기 파리의 기묘하고 영원히 기억될 장면을 만들어 냈다.
작업 방식
데만트의 작업 방식은 매우 프로페셔널하고 세심하며,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아주 신중하게 실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작업 과정과 단계는 다음과 같다 :
- Research :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주제, 역사,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광범위한 리서치를 수행한다.
- Sketching : 다음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환경에 대한 상세한 스케치를 작성하여 공간의 주요 특징과 치수를 매핑한다.
- Model Building : 종이와 판지를 사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환경의 실물 크기 모형을 매우 상세하게 제작한다. 이 작업은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모델의 각 레이어를 아주 세심하게 설계하고 제작한다고 한다.
- Lighting : 모형이 완성되면 원하는 분위기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조명을 설정한다.
- Photography : 마지막으로 완성된 모델을 촬영하며, 원하는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여러 장의 사진을 찍기도 한다. 그런 다음 최종 이미지를 선택하는데 최대 6피트 이상의 대형 사이즈로 인쇄하는 특징이 있다.
현대 예술에서 작가의 지위와 영향
토마스 데만트의 작품은 현대 미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예술가들이 그의 독특한 창작 과정을 영감의 원천으로 삼고 있다. 그의 작품은 고도로 개념적인 성격과 시각적 수준, 지적 수준 모두에서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매우 섬세하고 복잡한 설치 작품을 제작하는 사라 제 Sarah Sze, 타린 사이먼 Taryn Simon 등 다른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도 데만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사진 분야에도 아주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사진가들이 매체의 경계를 넓히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모델 구축과 이미지의 조명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을 따르고 있다.
관련 예술 및 사진 이론
토마스 데만트의 작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관련 예술 및 사진 이론과 연관되어 있다 :
- 시뮬라크르 The simulacrum : 데만트의 작품은 종종 상상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환경을 매우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특징이다. 이러한 현실과 환상의 모호함은 프랑스 철학자 장 보드리아르 Jean Baudrillard 가 현대 문화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현실의 재현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인 시뮬라크르 simulacrum 개념의 핵심적인 측면이다.
- 기괴함 The uncanny : 데만트의 작품은 종종 언캐니 uncanny 효과를 불러일으키며, 관객은 그의 매우 섬세하고 사실적인 모델을 마주할 때 불안감이나 방향 감각 상실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 효과는 프로이드 Freud 가 친숙해야 할 것이 낯설게 느껴질 때 발생하는 불편함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인 언캐니의 개념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 구성된 이미지 The constructed image : 그의 작업은 세심한 계획과 실행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사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인 구성 이미지 constructed image 의 개념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즉흥적이고 매개되지 않은 순간을 포착하는 것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사진 접근 방식과는 대조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토마스 데만트의 작품은 현대 미술계에 매우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공헌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델 제작과 사진 촬영에 대한 세심한 접근 방식은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이미지를 만들어내어 보는 이로 하여 현실에 대한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그의 작품은 미술과 사진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독특한 창작 과정은 전 세계 예술가들에게 계속해서 영감을 주고 있다.
'Art & Photo > on Arti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의 교향곡 : 러시아 화가 칸딘스키의 삶과 작품 (0) | 2023.03.01 |
---|---|
The Color Symphony: The Life and Work of Russian Painter Kandinsky (0) | 2023.02.28 |
Thomas Demand - Artiste, Photographer (0)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