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82 [#02] De la panique financière à l'Exposition Universelle de Paris : Paris,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Minseok KIM [ De la panique financière à l'Exposition Universelle de Paris : Paris,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 Minseok KIM #02 Paris, centre de l'art et de l'avant-garde De nombreux phénomènes, apparus depuis la fin du XVIIIe siècle jusqu’aux années qui précèdent la Seconde Guerre mondiale, ont contribué à donner à Paris le statut de centre de l’art à cette époque. Certains événements, comme l’ém.. 2022. 12. 2. [#01] INTRO - Art populaire, modernisme et photographie, Minseok KIM [ Art populaire, modernisme et photographie ] Minseok KIM #01 Introduction Le récit historique commence par des archives, progresse à travers la science et se termine en tant qu’art(1). Face à une crise sanitaire sans précédent et à des phénomènes sociaux, politiques et culturels extrêmement complexes, où devrions-nous aller ? Au cours de l’histoire, pouvons-nous dire que c’est quand ce qui refl.. 2022. 12. 2. [#04]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민석킴 [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4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이런 다양한 맥락 아래에서, 이 같은 요소들의 종합은 당시의 예술가들에게 하여금 이 도시 파리의 매력에 저항할 수 없게 했다. 셰루 Clement Chéroux 의 표현에 따르면, 파리는 « 사실상 예술의 수도였고, 모든 창작의 활력을 끌어당기는 빛의 도시였다(1) ». 그리고 프랑수아즈 드누옐 François Denoyelle 은 파리가 « 서구 세계의 예술적 영향력에 있어 중심 중에 중심인 것이 확실해졌다(2) »고 묘사 하기도 한다. 그렇게 전 세계의 예술가들이 파리로 모여들고, 그 다양한 국적이 문화 정체성의 비옥함을 가져왔으며, 그것은 창작의 활기와 동기 그리고 소재 등으로 작용했다. 그러므로.. 2022. 12. 1. [#03]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민석킴 [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3 전쟁의 발발과 정치 · 경제적 배경 이처럼 이 시대의 파리는, 근대성의 시대와 자본주의 문화를 다룬 발터 벤야민 Walter Benjamin 의 작품 제목처럼, 『19 세기의 수도 Paris, capital du XIXe siècle(1) 』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 도시를 기능적 시각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클레망 셰루 Clément Chéroux 가 잘 지적한 것처럼, 다른 한편으로 이 시기의 파리는 « 급성장하는 산업화와 결국엔 도시민들을 삼켜버리는 문어발식 도시 개발 등 진보의 허브 »인 것으로 보이기도 했기 때문이다(2). 그리고 마침내 유럽에는 이 모든 것을 전.. 2022. 11. 29. [#02] 경제 공황부터 파리 만국박람회까지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민석킴 [ 경제 공황부터 파리 만국박람회까지 :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 글쓴이 민석킴 Minseok KIM #02 파리, 예술과 아방가르드의 중심지 18세기 말부터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발생한 수많은 사건으로 인해서 파리는 당시 예술의 중심지로서 지위를 얻게 된다. 나아가 같은 기간 동안 이 도시에서목격되는특정목적에의한예술사조의출현등몇몇사건들은특히 주목해 볼만하다. 사진의 발명과 공표 그리고 보급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파리를 매혹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었고, 그러면서 세계 각지의 예술가들이 파리로 몰려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역사가 산업의 발전과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차원에서 사회의 진보에 기반을 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파리의 지위 형성에 대한 맥락을 더 깊이 검토.. 2022. 11. 28. #001 부르디외의 『중간 예술』 (서문), Introduction - Un Art Moyen de Pierre Bourdieu 개념론 #001 부르디외의 『중간 예술』 서문 Introduction - Un Art Moyen - essai sur les usages sociaux de la photographie, de Pierre Bourdieu 이천이십이년 십일월 이십일일 프랑스 파리의 동쪽, 방센의 서재에서. 부르디외는 서문의 첫 문장으로 이 연구의 문제의식과 책의 동기를 밝힌다. 사진 행위와 사진 이미지의 의미는 과연 사회학의 연구 주제가 될 수 있고 또 되어야 하는가? L'étude de la pratique photographique et de la signification de l'image photographique peuvent-elles et doivent-elles donner matière à sociolog.. 2022. 11. 26.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